본문 바로가기
공부

무어머신 밀리머신 (순차회로)

by 차근차근배우자 2023. 7. 23.
반응형

순차논리회로란 플리플롭과 조합논리회로로 구성된 것이다.

무어머신은 출력이 플리플롭들의 현재 상태만의 함수이다. 그니까 플리플롭 출력이 출력 값인데

밀리머신은 출력이 입력 + 플리 플롭과 같은 것이다

무어머신의 예로는 자판기의 100원, 200원 넣는 시스템이 예일 수도 있다 100원을 넣고 200원이라는 출력으로 가는데

 

다음과 같은 상태다이어그램은 상태식에서 정의한다. A(t+1) = A(t)x(t) + y(t)

상태 전이가 일어난 경우 는 긴 선 들

 

상태 불변은 다시 되돌아 오는 시스템들

 

무어머신은 현재 상태에서 입력을 넣으면 거기에 해당되는 상태가 변하여 출력을 결정하게 되는데

 

물론 밀리로 무어와 같지만 1을 넣으면 항상 0이나오는 출력에서  전구가 켜진 상태에서도 전구켜짐 입력을 넣으면 전구켜짐이 나온다

 

밀리머신은 현재 입력이 현재 상태와의 수식을 통해서 결과가 나오고 그다음 상태로 바뀌는 행위 이다.

그니까 상태와 출력은 같지가 않다는 뜻

a,b,는 입력의 조합회로의 결과인데 그거에만 영향을 받는것이 아니라 어떻게 보면, a,b,는 현재 상태이고 거기에 x라는 입력을 더 추가하여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출력 값이 두가지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음

 

플리플롭이 2개 쓰였으니 2^n개의 상태를 같는다.

 

 

3번 플리 플롭에 따라 회로 복잡도가 달라지므로

 

 

4개의 상태가 있으므로 상태기의 수는 2개만 있으면 된다. 2개의 플리플롭이 있으면 된다.

 

상태가 무지하게 많으면 플리플랍도 무지하게 많아 진다.

레지스터란 메모리의 최소단위를 레지스터라 한다.

 

 

지연시간은 하드웨어적으로 어떻게 구성을 하나?

클럭에 듀티비?

 

입력 펄스(클럭) 간 간격이 지연시간보다 더 짧아지면 오류 생기는거

 

wire로 되어있기 떄문에 값이 변하면 바로 바뀐다.

반응형